여성독립군열전

여성독립군열전
ISBN-10
ISBN-13
9791186358696
Category
History / Asia / Korea
Pages
258
Language
Korean
Published
2019-08-10
Publisher
초록비책공방
Author
신영란

Description

조국을 빼앗긴 암울했던 그 시절 “만약 당신이었다면 그녀들처럼 살 수 있었을까?” 안중근, 윤봉길, 김좌진, 이범석, 손병희, 백범 김구, 이승만...... 그리고 유관순. 일제 강점기에 나라의 독립을 위해 활동한 이들을 떠올려 보면 대부분 남성일 것이다. 그나마 여성독립운동가 중 가장 먼저 떠오르는 이가 유관순인데, 그녀의 이름이 익숙한 것은 어린 시절부터 읽어온 교과서나 위인전 영향일 테다. 1910년 대한제국이 멸망한 이후부터 1945년 8월 15일 광복에 이르기까지 일제 강점기 35년 동안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잃어버린 자유와 나라를 되찾기 위해 목숨을 바쳤다. 국가보훈처 독립유공자공훈록에 기록되어 있는 숫자만 헤아려 봐도 1만 5,454명에 이른다. 이 중 여성 독립운동가의 수는 431명. 턱없이 많은 여성 독립운동가들이 기록되지도 못한 채 잊혔다. 그나마 기록된 이들 가운데 우리는 몇이나 알고 있을까? 그들의 생애는커녕 이름조차 모르고 있진 않을까? 〈지워지고 잊혀진 여성독립군열전〉은 남자 못지않게 목숨을 내놓고 국내외에서 치열하게 항일 투쟁을 했지만 ‘여성’이라는 이유만으로 우리의 기억에서 잊히고 기록에서 사라진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삶을 들여다보고 있다. 이 책을 집필하기 위해 신영란 작가는 공식 사료뿐만 아니라 그들의 생애를 담은 각종 비공식 자료, 신문기사, 다큐멘터리 등 각종 매체까지 찾아 진실에 가깝게 그들의 삶을 조명하고자 심혈을 기울였다. 여성독립운동가들의 생애와 업적 그리고 그들이 몸담았던 독립단체에 대해 정리해놓은 이 책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19년 우수출판콘텐츠 제작지원사업’에 선정되었다.

Similar books

  • North Korea: The Politics of Regime Survival
    By Young Whan Kihl, Hong Nack Kim

    ... covert , or semiformal — that were extended to the DPRK by Western governments in the kangsong taeguk period , we might well discover that the ratio of such outside assistance to local commercial earnings began to approach the scale ...

  • The Origins of the Korean War: Liberation and the emergence of separate regimes, 1945-1947
    By Bruce Cumings

    By the fall of 1946 , south Korea's agricultural producers , and the economy itself , were at the end of their tether . As rice goes , so goes the Korean economy . Open - market wholesale prices in Seoul began a steep rise in August ...

  • Conflict in Korea: An Encyclopedia
    By James Hoare, Susan Pares

    Man - shik , 101 Chaebol , 21-22 , 207 Chang , - Ms. , 149 Chang , Myon , 7 , 118 Chang , Tok - su , 6,90 Chang , Yong - hak , 101 Changjin Reservoir ( 1950 ) , 22 , 53 , 56 , 170 , 185 , 203 , 209 Chanteloup , Maurice , 149 Cheju ...

  • 回歸五四: 苦難的歷程
    By 姜弘

    這裡,不能不特別提一下上海的出版物:滿濤翻譯的《文學的戰鬥傳統》和《別林斯基選集》;辛未艾翻譯的《杜布洛留勃夫選集》,還有那每輯十多本的《文藝理論小譯叢》,把俄國那種飽含人道主義和民主主義啟蒙精神的現實主義傳統引進來了。

  • 行雲流水記往(下)
    By 沈鵬年

    本書可謂是沈鵬年先生的回憶錄,記述了沈鵬年的傳奇人生及其年輕時從事現代史和現代文學探索的足跡。本書內容中的大量史料,收集文人著作存稿、手跡、照片、通信等圖文並茂,其中不泛精闢見解,珍貴異常,或可當信史來讀。【秀威資訊科技股份有限公司製作】

  • 為了活下去: 脫北女孩朴研美
    By 朴研美

    「這輩子我最感激兩件事,一是我出生在北韓,一是我逃出了北韓。」 一個長於北韓黑市世代的女孩,歷經苦難終於逃離家鄉, 卻在人口販子的掌控下,度過兩年生不如死的歲月。 這一則活下去的故事。 ◆文字工作者阿潑、作家吳曉樂專文推薦 ◆已出版法、德、西、日等多國語言。 ◆內附歷經幾番波折重新取回的珍貴家族照片。 上學途中看見屍體躺在路邊、肚子餓到只能吃野生植物果腹、鄰居莫名其妙「消失」等等,這些都是朴研美從小到大習以為常的事。她相信「敬愛的領袖」可以看穿她的心,甚至因為她心裡的「壞念頭」而懲罰她。 十三歲那年,飢荒再加上父親入獄,迫使研美一家人不得不冒著生命危險,橫越結冰的鴨綠江,從北韓逃到中國。然而,到了中國之後,她才發現自己已經落入中國人口販子的手中。 她在人口販子的掌控下度過兩年生不如死的歲月,在一個甚至比她逃離的家鄉更殘酷、更危險的地方掙扎求生。後來,研美與母親再一次冒著生命危險想辦法逃亡。她們在漆黑的寒夜橫越戈壁沙漠,跟隨著星星的指引邁向自由。 這是朴研美第一次以無比的勇氣、尊嚴和幽默的語調,完整道出這段驚心動魄的往事。這本書證明了人類精神的強大韌性,以及不計代價追求自由的強烈決心。 

  • The Three Wars of Lt. Gen. George E. Stratemeyer: His Korean War Diary
    By George E. Stratemeyer

    In this volume, we examine the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created by global migration at the start of the 21st century. Our focus extends beyond economic impact to questions of international...

  • Foreign Operations, Export Financing, and Related Programs Appropriations for 2004: Hearings Before a Subcommittee of the Committee on Appropriations, House...
    By United States, Claitors Publishing Division, United States. Congress. House. Committee on Appropriations. Subcommittee on Foreign Operations

    Foreign Operations, Export Financing, and Related Programs Appropriations for 2004: Hearings Before a Subcommittee of the Committee on Appropriations, House...

  • 우리는 모두 페미니스트가 되어야 합니다
    By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여자든 남자든, 우리는 모두 지금보다 더 잘해야 합니다” 전세계를 뒤흔든 화제의 TED 강연, 21세기 페미니스트 선언! 오늘날 페미니즘은 어떤 의미일까? 이 질문에 답하는 책이 출간되었다. 『포린 폴리시』 선정...

  • The St Cuthbert Gospel: Studies on the Insular Manuscript of the Gospel of John (BL, Additional MS 89000)
    By Bernard Meehan, Claire Breay

    The St Cuthbert Gospel (formerly known as the Stonyhurst Gospel) is the earliest intact European book and a landmark in the cultural history of western Europe. Now dated to the...